반도체뉴스 中 "반도체 핵심재료 갈륨 수출 통제"…美 제재 강화에 보복 조치, 7월 4일 데일리뉴스 요약
Main text
에이디테크놀로지, ‘삼성 4·5·8 나노 반도체’ 설계 지원 강화 ◀ 더보기
에이디테크놀로지가 세계 1위 반도체 설계자산(IP)·설계자동화(EDA) 툴 기업과 손잡고 삼성전자 4나노 등 첨단 공정을 활용한 반도체 설계 지원에 나선다.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반도체를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는 각종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삼성전자와 파운드리 협력 강화가 주목된다. (원문: 전자신문)
“반도체는 인재 싸움…대학원 정원 80%만 채워선 ‘칩워’ 승리 어려워” ◀ 더보기
글로벌 반도체 패권 전쟁이 국가 대항전처럼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미국·중국·한국·대만·일본 외에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도 가세해 다자 대결 양상으로 번져가고 있다. 주요국 정부들은 막대한 보조금 지급 등 동원 가능한 전방위 지원책을 쏟아내며 반도체 산업 주도권 잡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원문: 서울경제)
"아내·자식·부모 다 데려와"…반도체 사활 건 독일, 이민법 손 본다 ◀ 더보기
유럽 최대 경제국인 독일이 반도체 생산기지 건설을 위해 이민법 개혁에 나섰다. 막대한 지원금으로 인텔, TSMC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의 투자를 끌어내며 유럽 최대 반도체 생산기지 설립 계획 추진에 나섰지만, 이를 뒷받침한 인력이 부족해지자 숙련된 외국인 근로자 확보를 위해 이민법에 손을 댄 것이다. (원문: 머니투데이)
“중국하고 거래 끊겠다”…최대 수혜국은 한국이라는 노벨상 수상자 ◀ 더보기
미중 기술패권 경쟁에 따른 탈세계화로 글로벌 공급망이 해체되는 가운데 단기적으로 한국이 중국을 대체해 수혜를 입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시킨 주거용 부동산에 이어 이번에는 상업용 부동산이 위기의 진앙지가 될 것이란 경고도 제기됐다. (원문: 매일경제)
회사 연구까지 희생해 日라피더스 밀어주는 美IBM, 대체 왜? ◀ 더보기
미국 IBM이 일본의 반도체 제조 스타트업인 라피더스를 지원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대만과 한국 이외의 신생 파운드리 공장이 장기적으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란 판단에서다. (원문: 머니투데이)
EU, 일본과 반도체 협력 강화…"역내 생산 늘릴 것" ◀ 더보기
유럽연합(EU)이 역내 반도체 생산을 늘리기 위해 일본 반도체 업계와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원문: 이데일리)
빅테크, ‘AI 스타트업’에 눈독… 인수·투자 경쟁 본격화 ◀ 더보기
인공지능(AI) 스타트업에 돈이 몰리고 있다. AI 역량을 확보하는 게 기업의 미래를 좌우하는 ‘방향타’로 떠올랐다. 선두주자는 격차를 더 벌리기 위해, 후발주자는 추격을 위해 유망한 AI 스타트업 발굴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원문: 국민일보)
삼성전자, 메모리·파운드리 개발실장 동시 전격 교체 ◀ 더보기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이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사업부와 메모리사업부의 제품 개발 총책임자를 전격 교체했다. 파운드리에선 3나노미터(nm, 1nm=10억분의 1m) 이하 최첨단 공정 경쟁력을 강화해 고객사 확대에 나서는 동시에 메모리사업부에선 고대역폭메모리(HBM),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등 신제품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된다. (원문: 한국경제)
팹리스 스타트업 지원 팔걷은 삼성전자…"팀삼성으로 초격차 속도" ◀ 더보기
#팹리스 스타트업 리벨리온은 2021년 삼성전자와 5나노 공정에서 AI(인공지능) 반도체 '아톰'을 생산하기로 계약했다. 글로벌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공정이 부족하던 때였지만 삼성전자는 리벨리온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했다. 이렇게 탄생한 아톰은 올해 초 생성AI 분야 성능테스트 엠엘퍼프에서 엔비디아, 퀄컴보다 높은 기록을 달성했다. 리벨리온은 하반기부터 글로벌 빅테크들을 대상으로 고객사를 확보하고 내년부터 아톰의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원문: 머니투데이)
'메이드 인 삼성' HBM으로 세계 거머쥔다…"반격은 지금" ◀ 더보기
삼성전자가 차세대 반도체로 꼽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탈환에 박차를 가한다. 인공지능(AI)과 초고성능 컴퓨팅(HPC) 제품 수요 증대로 급성장하는 HBM 사업을 확대해 메모리 반도체 불황 반등의 계기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아직 경쟁사에 비해 점유율·개발 시기가 뒤처져 있지만,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으로 시장 재편에 나선다. (원문: 머니투데이)
10개 중 9개는 SK하이닉스·삼성전자…AI시대 필수재 'HBM'경쟁 ◀ 더보기
고대역폭메모리(HBM)가 메모리반도체 불황을 타개할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른건 시장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다. AI(인공지능) 열풍으로 필수가 된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해선 고성능·고용량 메모리 HBM가 꼭 필요하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HBM을 미래 먹거리로 점찍고 시장 주도권을 가져오기 위한 경쟁 중이다. (원문: 머니투데이)
엔비디아 유일한 공급망…SK하이닉스 '고대역폭메모리' 기대감 ◀ 더보기
고대역폭메모리(HBM·High Bandwidth Memory) 수요가 올해 큰 폭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으로 고성능 컴퓨팅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HBM이 올해 반도체 시장의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원문: 머니투데이)
SK하이닉스도 '반도체 슈퍼을'?…엔비디아 이어 MS·아마존 줄섰다 ◀ 더보기
글로벌 거대 빅테크 기업들이 SK하이닉스에 5세대 HBM(고대역폭메모리)인 HBM3E 샘플을 요청, 사실상 선주문에 나섰다. 앞서 다량의 샘플을 요청한 엔비디아에 이어 고객사 요청이 쏟아지면서 SK하이닉스는 'HBM3E' 올인 모드다. AI(인공지능)열풍으로 HBM 시장이 커지는 가운데 SK하이닉스가 글로벌 '슈퍼 을' 지위를 공고히하고, 그룹 실적부진 회복의 실마리를 찾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원문: 머니투데이)
옐런 美재무 6~9일 방중… 美 반도체 규제-中 반간첩법 ‘담판’ ◀ 더보기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6일(현지 시간) 중국을 방문한다고 미 재무부가 2일 밝혔다. 지난달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방중으로 미중 양국이 고위급 소통 재개에 합의한 데 따라 ‘경제 사령탑’ 옐런 장관이 조 바이든 행정부 장관급으로는 두 번째로 중국을 찾는 것이다. 지난달 바이든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독재자’라고 칭하고 이에 중국이 반발하며 긴장감도 감돌았지만 경제 분야에선 양국이 소통을 지속하겠다는 의미다. (원문: 동아일보)
中 "반도체 핵심재료 갈륨 수출 통제"…美 제재 강화에 보복 조치 ◀ 더보기
중국이 반도체 및 전자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금속인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을 제한했다. 오는 6~9일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의 방중을 앞두고 내린 조치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및 첨단기술 규제가 강화되자 보복 조치를 내놨다는 해석이 나온다. (원문: 한국경제)
기사 전문 링크: KSIA https://www.ksia.or.kr/infomationKSIA.php?data_ta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