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 BUSINESS PARTNER!

고품질의 제품만을 취급하여 고객님의 만족을 우선으로 합니다.

공지사항
Home 고객센터 공지사항

반도체뉴스 경북, 반도체 공정 부산물로 자원순환 시스템 만든다, 3월 24일 데일리뉴스 요약

조회 392 작성일2023-03-24 10:13

본문


경북, 반도체 공정 부산물로 자원순환 시스템 만든다 ◀ 더보기 

경상북도는 지난 22일 구미전자정보기술원에서 구미시, 경상북도 탄소중립지원센터, 구미전자정보기술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매그나칩반도체, KEC, 원익큐엔씨 등 12개 기관·업체와 구미 첨단 전자산업 자원순환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반도체산업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원문: 한국경제) 


경기도,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지원 첫 회의…“대한민국 경제에 활력” ◀ 더보기 

경기도가 용인시에 국가첨단산업단지로 조성되는 세계 최대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지원하기 위해 ‘반도체 지원 전담조직(TF)’을 출범하고, 23일 첫 회의를 열었다. 지난 15일 정부가 용인을 포함한 전국 15개 국가첨단산단 조성 계획을 발표한 지 8일 만이다. (원문: 세계일보) 


CPU 지각변동 … 인텔 주가 45% 떨어질때, AMD는 745% 폭등 ◀ 더보기 

글로벌 중앙처리장치(CPU) 시장에서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인텔(INTC)과 어드밴스트마이크로디바이시스(AMD)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인텔 주가가 5년 새 45% 폭락한 반면 저렴한 제품 취급을 받던 AMD의 주가는 745% 폭등했다. (원문: 매일경제) 


반도체 식각 공정용 세라믹 부품 국내 최초 개발 ◀ 더보기 

한국재료연구원(KIMS) 엔지니어링세라믹연구실 마호진·박영조 박사팀이 반도체 제조 장비 내부의 오염 입자를 줄이는 내플라즈마성 세라믹 나노복합체와 공정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맥테크에 기술이전했다. (원문: 파이낸셜뉴스) 


텔레칩스, 자율주행 두뇌 '차량용 반도체시장' 뛰어든다 ◀ 더보기 

텔레칩스는 최근 신경망처리장치(NPU)를 적용한 ADAS 반도체 칩 '엔돌핀' 개발했다. 현재 핵심 기능을 구현한 엔지니어링 시제품(ES)까지 제작했다. 고객사가 확보되면 고객 요구사항을 반영한 맞춤형 시제품 개발과 성능 테스트를 착수할 방침이다. (원문: 전자신문) 


DB하이텍, “전력반도체 파운드리와 OLED 칩 설계 전문성 키울 것” ◀ 더보기 

DB하이텍이 전력 반도체 중심의 파운드리(반도체 칩 위탁생산) 사업에 집중하는 동시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구동칩 설계 역량 강화에 나선다. 23일 시스템반도체 전문 기업 DB하이텍은 “파운드리와 브랜드 사업의 전문화된 경쟁력을 기반으로 동반성장을 이루겠다”며 파운드리와 브랜드(반도체 설계) 사업 분할에 대한 청사진을 이같이 밝혔다. (원문: 헤럴드경제) 

 

LG이노텍 “고부가 반도체기판 FC-BGA 글로벌 1위 도약” ◀ 더보기 

LG이노텍이 미래 핵심 먹거리로 설정한 ‘플립칩 볼그리드 어레이(FC-BGA)’ 기판과 차량용 카메라 사업 분야에서 글로벌 1위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정철동(사진) LG이노텍 사장은 23일 오전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 본사 대강당에서 열린 ‘제47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조기 양산에 성공한 FC-BGA를 글로벌 일등 사업으로 키울 것”이라며 이같이 설명했다. (원문: 문화일보) 


미래 반도체 승부처는 '이곳'...삼성전자, '무어의 법칙' 한계 뛰어넘는다 ◀ 더보기 

삼성전자가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새로운 융복합 패키지 기술 개발에 승부수를 걸었다. 메모리반도체뿐 아니라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기 위해선 첨단 패키지 기술력 향상이 수반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원문: 파이낸셜뉴스) 


'3나노' 높은 벽…삼성전자 GAA로 TSMC '맹추격' ◀ 더보기 

삼성전자와 첨단 반도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대만 TSMC가 3나노미터(3㎚·10억분의 1m) 공정 도입에 고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원문: 뉴스1코리아) 


TSMC, 80조 들여 2나노 공장 4개 짓는다… 삼성의 맹추격 저지 ◀ 더보기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체인 대만 TSMC가 ‘대만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신주(新竹)에 ‘2nm(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공정 기반의 반도체를 생산할 신공장 건설에 돌입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3일 보도했다. (원문: 동아일보) 


美·中 쇼핑 대목에 韓반도체 웃는 이유 ◀ 더보기 

중국 618쇼핑축제, 7월 아마존 프라임데이 등 올해 쇼핑 성수기의 막을 여는 대규모 이벤트가 다가오면서 한국 반도체 업체들이 미소짓고 있다. 특히 두 메인 쇼핑 이벤트에서 주로 팔리는 세트(완제품) 제품이 스마트폰과 TV, 노트북 등 디스플레이 탑재 제품인만큼 DDI(디스플레이구동칩)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원문: 머니투데이) 


네덜란드 반도체 수출규제에 발끈한 中, "작은 나라가..." ◀ 더보기 

네덜란드 정부가 자국 반도체 장비업체인 ASML의 대중 수출통제를 시사하자 중국이 발끈하고 나섰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탄젠(談践) 네덜란드 주재 중국대사는 최근 네덜란드 현지 언론과 인터뷰를 통해서 "반도체 장비 수출통제에 따른 결과가 없을리 없다"며 "상응조치에 대해 미리 추측하고 싶지 않지만 중국이 이를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원문: 주간조선) 


中, 반도체 굴기 대수술… 첨단 안되니 구형으로 승부하라 ◀ 더보기 

중국 정부가 이른바 ‘레거시(legacy·구형) 반도체’를 주력 제품으로 생산하는 자국 기업들을 본격 육성하기로 했다. 지난 2~3년간 이어진 미국의 초고강도 반도체 제재로 첨단 반도체 경쟁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판단에서다. 여기서 구형 반도체는 2011년 양산되기 시작한 28나노(1나노는 10억분의 1미터)와 그 이전의 공정에서 만들어진 반도체를 뜻한다. 반도체 제품은 공정이 미세할수록 첨단이고, 가격도 비싸진다. 반도체 업계에선 “중국이 ‘첨단 기술 따라잡기’에서 구형칩 ‘박리다매’로 정책을 변경하며 생존에 발버둥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원문: 조선일보) 


日, 수출규제 해제 … 정부도 WTO 제소 철회 ◀ 더보기 

정부가 일본의 반도체 3개 소재 수출규제에 맞선 카드였던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철회했다. 2019년 7월 일본이 수출규제 조치를 내린 지 약 3년8개월 만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불화수소·불화폴리이미드·포토레지스트 등 3개 반도체 소재에 대한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와 관련된 WTO 제소를 철회했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한일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간 무역분쟁을 끝내고 경제협력을 도모하기로 한 데 따른 조치다. 일본 경제산업성도 23일부터 3개 품목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를 해제했다. (원문: 매일경제)



기사 전문 링크: KSIA https://www.ksia.or.kr/infomationKSIA.php?data_tab=1

  • 이전글 23.03.27
  • 다음글 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