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뉴스 사람 개입 없이 AI만으로 설계… 반도체 초격차 이끈다, 4월 6일 데일리뉴스 요약
본문
사람 개입 없이 AI만으로 설계… 반도체 초격차 이끈다 ◀ 더보기
인텔을 창업한 고든 무어가 지난달 24일 세상을 떠났을 때, 반도체 회로의 집적도가 2년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Moore’s law)’이 다시 관심을 모았다. 반도체 혁신을 이끌어온 이 법칙은 이제 한계에 달했다는 지적도 받는다. (원문: 조선일보)
자외선 제어 가능한 메타표면 가공법… “반도체 초격차 만든다” ◀ 더보기
한국연구재단은 노준석 포스텍(포항공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이헌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나노미터(㎚·10억 분의 1m) 단위 해상도의 메타표면을 고굴절 재료로 간단히 프린팅하는 가공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원문: 조선Biz)
세미파이브, 첫 SoC 플랫폼 기반 AI 반도체 양산 돌입 ◀ 더보기
세미파이브는 자사 'AI 인퍼런스 SoC 플랫폼'으로 개발한 퓨리오사AI 반도체 1세대 제품 '워보이'가 양산에 들어갔다고 5일 밝혔다. 세미파이브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디자인솔루션파트너(DSP)인 국내 디자인하우스다. 디자인하우스는 팹리스와 파운드리 간 '가교 역할'을 담당하는데 팹리스가 설계한 반도체가 파운드리에서 원활하게 생산되도록 공정 최적화와 설계 지원을 맡는다. (원문: 전자신문)
반도체 설계社 오픈엣지, 도요타 계열사와 공급 계약 ◀ 더보기
코스닥시장 상장사인 반도체 설계자산(IP) 플랫폼 오픈엣지테크놀로지(오픈엣지)가 일본 도요타자동차 계열사인 아이신(AISIN)과 차량용 반도체 IP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고 5일 밝혔다. 아이신은 자동차 부품회사 중 세계 여섯 번째 규모이며, 변속기 제조업체로는 세계 1위다. (원문: 한국경제)
네이버 투자받은 블루닷, '파두'와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개발 ◀ 더보기
네이버 스타트업 양성조직 D2SF로부터 투자받은 동영상 압축·영상처리 기술 기업 블루닷은 국내 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팹리스) '파두'와 데이터센터용 트랜스코딩 칩(반도체)을 공동 개발한다고 5일 밝혔다. (원문: 연합뉴스)
구글, 인공지능 슈퍼컴퓨터 공개…"성능 엔비디아 능가" ◀ 더보기
구글이 인공지능(AI)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 자체 개발한 AI 슈퍼컴퓨터 'TPU v4'를 공개했다. 5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이 AI 슈퍼컴퓨터에는 구글이 2016년부터 자체적으로 개발해 온 '텐서 프로세싱 유닛'(Tensor Processing Units·TPU)이라는 AI 칩 4천개가 탑재됐다. (원문: 연합뉴스)
삼성전자, 日에 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라인 설립 검토 가능성 제기 ◀ 더보기
삼성전자가 일본에 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라인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 패키징 분야 강국으로 알려진 일본에 관련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려 TSMC와 반도체 후공정 기술 격차를 좁히기 위한 포석이다. (원문: 조선Biz)
"챗GPT 시대, 첨단 반도체 패키징으로 대응해야" ◀ 더보기
첨단 패키징 기술이 고성능컴퓨팅(HPC) 시장 성장에 대응할 방법론으로 급부상했다. 반도체 전문가들은 '챗GPT' 등 인공지능(AI) 수요가 커지면서 데이터 통신 지연을 최소화하고 성능을 극대화할 전략으로 '칩렛'을 손꼽았다. 칩렛은 다양한 기능을 하는 반도체(다이)를 결합해 하나의 칩으로 구현하는 방식으로 업계 최대 성장 동략으로 주목받는다. (원문: 전자신문)
챗GPT 열풍 올라탄 AI반도체… 삼성, 대형고객사 잡아 TSMC 넘는다 ◀ 더보기
삼성전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부가 국내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물량을 시작으로 차세대 인공지능(AI) 칩 양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AI챗봇 '챗GPT' 열풍에 힘입어 AI반도체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대형 고객사의 수주물량 확보도 가시화되고 있다. (원문: 파이낸셜뉴스)
"EU, 반도체법 세부안 18일 확정…지원 대상 확대" ◀ 더보기
유럽연합(EU)이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한 EU 반도체 지원법(ECA·European Chips Act)의 세부 계획을 이달 마련할 예정이다. EU가 반도체 기업 지원 범위를 첨단 반도체뿐 아니라 전체 공급망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원문: 한국경제)
中, 마이크론 안보조사…美기업 M&A엔 '딴지' ◀ 더보기
뉴욕타임스(NYT)는 중국 당국이 미국 메모리반도체 업체 마이크론테크놀로지를 조사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며 4일(현지 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이는 미국이 반도체지원법,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으로 중국을 압박하는 데 따른 대응으로 해석된다. 애꿎은 미국 기업들만 피해를 보는 셈이다. (원문: 서울경제)
中 '점유율 90%' 희토류 자석 무기삼아 … 美日 반도체규제 맞불 ◀ 더보기
미국·일본 등이 중국 패권주의를 견제하며 반도체 장비 등 수출규제에 나선 가운데, 중국이 세계 시장에서 점유율이 높은 '희토류 자석' 제조기술에 대해 수출규제를 추진하고 있다. 희토류 자석은 전기차·풍력발전 모터 등에 핵심적인 부품인 만큼 탈탄소산업 분야에서 영향력을 높이려는 '패권 전략'으로 보이는데, 자칫 이를 미국·일본 등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활용하는 것 아니냐는 염려도 나온다. (원문: 매일경제)
기사 전문 링크: KSIA https://www.ksia.or.kr/infomationKSIA.php?data_ta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