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 BUSINESS PARTNER!

只交易高质量产品,以满足客户为先

公告
Home 客服中心 公告

반도체뉴스 KAIST, 3차원 반도체소자 구현 ‘나노 인쇄 기술’ 개발, 4월 5일 데일리뉴스 요약

视图 436 작성일2023年 04月 05日 09:42

Main text


KAIST, 3차원 반도체소자 구현 ‘나노 인쇄 기술’ 개발 ◀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와 한국기계연구원(KIMM) 정준호 전략조정본부장 공동연구팀은 `차세대 3차원 나노구조체 인쇄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원문: 뉴스1코리아) 


일본 반도체 라피더스, 벨기에 아이멕과 최첨단 노광기술 제휴 합의 ◀ 더보기 

일본의 반도체회사 라피더스는 4일(현지시간) 벨기에의 반도체국제연구기관 ‘아이멕(imec)’과 최첨단 노광기술개발에서 제휴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원문: 글로벌이코노믹) 


DB하이텍, ‘韓 TSMC’ 첫발 뗐지만…‘물적분할·불통’ 논란 속 행동주의에 덜미 ◀ 더보기 

물적분할 논란으로 주주들과 갈등을 빚은 DB하이텍이 우여곡절 끝에 반도체 설계 사업(팹리스)을 자회사로 떼어내고 순수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업으로 출발하게 됐다. 다만, 주주 반발이 여전히 거세다는 점에서 향후 사업 재편 과정에서 전략적 유연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원문: 매일이코노미) 


AMD, 라이젠 7000 CPU용 A620 칩셋 메인보드 공개 ◀ 더보기 

AMD가 데스크톱PC용 라이젠 7000 시리즈 메인보드용 새 칩셋인 A620을 공개하고 주요 메인보드 제조사 대상으로 공급에 나섰다. A620 칩셋은 지원 프로세서와 오버클록 기능, PCI 익스프레스 규격 등에 제약을 두는 대신 단가를 낮췄다. AMD가 제시한 최저 가격은 85달러(약 11만 2천원)다. (원문: ZDNETKorea) 


"인텔, TSMC와 차세대 그래픽칩셋 생산 계약 완료" ◀ 더보기 

공상시보는 "아크 차세대 제품인 '배틀메이지'(Battlemage)는 TSMC 4나노급 공정에서 오는 2024년 하반기부터, '셀레스티얼'(Celestial)은 TSMC 3나노급 공정에서 2026년 상반기부터 양산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원문: ZDNETKorea) 


TSMC는 3나노 칩으로 하반기 최고 매출 찍는다는데…삼성 대응은 ◀ 더보기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하반기부터 3나노미터(㎚·1㎚=10억 분의 1m) 칩의 주문량 증가에 힘입어 최고 매출을 기록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그동안 실적 하락세를 보이다가 7월 이후부터는 3㎚ 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반전할 것이란 예측이다. (원문: 중앙일보) 


"허깅페이스 테스트서 인텔 AI 가속기 추론 가장 빨라" ◀ 더보기 

인텔은 "AI 플랫폼 허깅 페이스가 시중에 나온 어떤 GPU(그래픽처리장치)보다 인텔 AI 하드웨어 가속기에서 더 빠른 추론이 가능했다는 테스트 결과를 냈다"고 4일 밝혔다. 허깅 페이스는 챗GPT 개발의 바탕이 된 트랜스포머 기술을 대중화시킨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다. (원문: 연합뉴스) 


美·中 반도체 싸움에 등터지는 삼성·SK하이닉스… 중국 반격에 첩첩산중 ◀ 더보기 

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마이크론 규제로 미중 간 반도체 공급망 싸움에 불이 붙을 전망이다. 중국과 미국에서 모두 사업을 벌이고 있는 국내 반도체 업체들은 사업 불확실성이 커져 잠재 수요 마저도 쪼그라들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원문: 조선Biz) 

 

中, 日 반도체장비 수출규제에 "과단성 있는 조치 취할 것" 경고 ◀ 더보기 

중국 상무부는 4일 밤 기자 질문에 대한 대변인의 답변 형태로 낸 입장문에서 "일본 측이 고집스럽게 중·일 반도체 산업 협력을 인위적으로 저해할 경우 중국 측은 과단성 있는 조치를 취해 자신의 합법적 권익을 결연히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문: 연합뉴스) 


日 “반도체 매출 3배 올려 2030년 150조원 목표” ◀ 더보기 

일본 정부가 자국 반도체 관련 산업의 매출을 2030년까지 15조 엔(약 150조 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NHK 등이 4일 보도했다. 2020년 매출의 3배이고 기존에 제시했던 13조 엔보다도 2조 엔이 늘었다. 이를 위해 향후 10년간 민관 합동으로 최소 10조 엔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보고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금 우대 정책 등도 검토하기로 했다. (원문: 동아일보) 


'韓 경제 운명 달렸다' 반도체, 반등 시기는 언제일까 ◀ 더보기 

경기 침체·고물가 등의 여파로 불황에 빠진 반도체 업황이 이르면 올해 3·4분기부터 재고 소진 효과에 반등세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챗GPT'로 대표되는 인공지능(AI) 시장의 급성장도 반도체 업황 회복을 떠받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 강화 여파로 한국이 미국과 협력에 무게를 실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됐다. (원문: 파이낸셜뉴스) 


국내 빅2 지난해 매출 346조···나머지 139개사 다 합쳐 36조 불과 ◀ 더보기 

국내 반도체 분야에서 삼성·SK만 보인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반도체 산업에서 삼성·SK 매출과 영업이익 비중이 90%를 넘어가는 등 의존이 심하기 때문이다. 최근 글로벌 경기 위축 흐름이 지속되면서 혹여 삼성·SK에 위기가 닥치면 국내 반도체 산업 전체가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온다. (원문: 아주경제) 


정부 지원 반갑지만···중소기업 '맞춤 정책' 절실 ◀ 더보기 

4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는 반도체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7월 발표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을 시작으로 국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이른바 'K칩스법(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도 조만간 법안 통과를 앞두고 있다. (원문: 아주경제) 


똘똘한 삼성·SK 빼곤 존재감 미미···'든든한 허리' 기업이 없다 ◀ 더보기 

한국 반도체 산업이 글로벌 최고 수준의 위상에도 불구하고 내실이 허술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간 격차는 물론 반도체 분야별로도 산업의 육성 정도에 크게 차이가 벌어지면서다. 일부 대기업 위주로 산업이 구성되며 생태계의 양극화가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원문: 아주경제) 


SK실트론, 'SiC 웨이퍼' 사업 속도…"車 반도체 시장 공략" ◀ 더보기 

SK실트론(029270)이 차세대 반도체 소재인 'SiC(실리콘카바이드) 웨이퍼' 투자 확대에 나섰다. SiC 웨이퍼가 신재생 에너지, 에너지 저장장치는 물론 전기차용 전력반도체의 핵심 소재로 떠오른 만큼 미래 성장의 핵심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원문: 뉴스1코리아) 


“첨단산단 조성, 속도가 관건”… ‘60일 타임아웃’ 인허가 특례 ◀ 더보기 

SK하이닉스는 2019년 2월 경기 용인시 처인구 일대에 120조 원 규모의 반도체 공장을 세우는 계획을 발표했다. 공장 면적만 415만 ㎡에 이르는 초대형 프로젝트였다. 순조롭게 보이던 건설 과정은 공업용수 확보 문제로 난관에 부닥쳤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물만 하루 26만5000t에 이를 것으로 보고, 남한강 인근의 공업용수 시설 인허가를 경기 여주시에 신청했다. 하지만 여주시는 주민 반대를 이유로 불허했다. 양측이 별도 협의체를 만들고 SK하이닉스가 상생 방안까지 내놓았지만 진전은 없었다. 결국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와 국민의힘이 중재에 나서 당초 계획보다 1년 6개월이 지난 그해 11월에야 허가가 났다. (원문: 동아일보) 


삼성, 큰 맘 먹었다...반도체·디스플레이에 300조+60조+4조 투자 ◀ 더보기 

삼성이 시스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 수백조원을 쏟아붓기로 한 것은 분야별 세계 1등 자리를 노린 투자다. 특히 삼성은 메모리 반도체 세계 1등이지만, 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 분야에서는 대만 TSMC와 격차가 2배 넘게 벌어진 2위에 머물고 있다. 디스플레이 역시 1등이었지만,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낮은 가격으로 밀어붙이는 중국에 밀린 상황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대규모 선제적 투자를 통해 첨단기술 생산시설과 생태계 조성에 나서야 미래를 담보할 수 있다. (원문: ZDNETKorea) 


尹 "디스플레이 새 도약 여는 투자…글로벌 1위 유지 지원" ◀ 더보기 

윤석열 대통령은 4일 오후 충남 아산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에서 열린 4조1천억 원 규모의 신규 투자 협약식에 참석했다. 지난달 15일 윤 대통령이 2026년까지 6대 첨단산업 분야에 총 550조 원의 민간투자를 끌어내겠다고 발표한 뒤 마련된 첫 투자 협약식이었다. (원문: 연합뉴스) 


반도체 기술만 전담 심사… 특허청 세계 첫 조직 신설 ◀ 더보기 

특허청이 세계 최초로 반도체 기술만 전담 심사하는 조직을 만든다. 반도체 산업을 둘러싼 치열한 국가 간 경쟁 속에서, 우리 기업의 핵심 기술을 선제적으로 보호하겠다는 취지다. 특허청은 반도체 기술을 전담 심사하는 ‘반도체심사추진단’ 신설을 담은 직제 개정안이 4일 국무회의를 통과해 오는 11일 시행된다고 밝혔다. (원문: 조선일보)



기사 전문 링크: KSIA https://www.ksia.or.kr/infomationKSIA.php?data_tab=1

  • 上一页 23.04.06
  • 下一页 23.04.04